○ | 정의 : 동일한 내용의 발명이 복수의 국가에 출원된 경우 이들 특허를 패밀리(대응) 특허라고 하며, 패밀리 특허가 출원된 국가의 수를 패밀리 크기라 함. |
○ | 의미 : 다수의 국가에서 보호 받을 가치가 있는 특허의 경우 패밀리 크기가 커지게 되며, 특허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. |
표 7. 출원인 국적별 평균 패밀리 크기
국가 | 특허 수 | 평균 패밀리 크기 | 분야 평균 대비 평균 패밀리 크기 |
---|---|---|---|
United Kingdom | 763 | 2.978 | 1.405 |
Japan | 2,920 | 2.765 | 1.305 |
China | 2,437 | 2.742 | 1.294 |
Korea, Republic | 2,346 | 2.624 | 1.238 |
Israel | 661 | 2.519 | 1.189 |
Canada | 802 | 2.332 | 1.1 |
Germany | 1,150 | 2.217 | 1.046 |
Taiwan | 517 | 2.203 | 1.04 |
United States of America | 35,470 | 1.922 | 0.907 |
Ireland | 653 | 1.858 | 0.877 |
그림 8. 특허 수 대비 평균 패밀리 크기
○ | 특허의 평균 패밀리 크기 분석 결과United Kingdom이(가) 가장 높은 값(2.978) 을 보여 특허의 패밀리 크기 관점에서 질적 수준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. |
○ | 분야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국가는 United Kingdom(1.405), Japan(1.305), China(1.294), Korea, Republic(1.238), Israel(1.189), Canada(1.1), Germany(1.046), Taiwan(1.04) 이(가) 있음. |
○ | 한국의 분야평균 대비 평균 패밀리 크기는 1.238을(를) 기록하였으며, 이는 질적 수준이 세계 평균 이상임을 의미함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