○ | 정의 : 동일한 내용의 발명이 복수의 국가에 출원된 경우 이들 특허를 패밀리(대응) 특허라고 하며, 패밀리 특허가 출원된 국가의 수를 패밀리 크기라 함. |
○ | 의미 : 다수의 국가에서 보호 받을 가치가 있는 특허의 경우 패밀리 크기가 커지게 되며, 특허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. |
표 7. 출원인 국적별 평균 패밀리 크기
국가 | 특허 수 | 평균 패밀리 크기 | 분야 평균 대비 평균 패밀리 크기 |
---|---|---|---|
Cayman Islands | 813 | 6.44 | 2.941 |
United Kingdom | 739 | 3.648 | 1.666 |
Korea, Republic | 1,491 | 3.374 | 1.541 |
China | 1,562 | 3.351 | 1.53 |
Japan | 3,752 | 3.155 | 1.441 |
Germany | 870 | 2.776 | 1.268 |
Ireland | 518 | 2.263 | 1.033 |
Israel | 603 | 2.229 | 1.018 |
Canada | 1,438 | 2.068 | 0.944 |
United States of America | 52,527 | 1.916 | 0.875 |
그림 8. 특허 수 대비 평균 패밀리 크기
○ | 특허의 평균 패밀리 크기 분석 결과Cayman Islands이(가) 가장 높은 값(6.44) 을 보여 특허의 패밀리 크기 관점에서 질적 수준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. |
○ | 분야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국가는 Cayman Islands(2.941), United Kingdom(1.666), Korea, Republic(1.541), China(1.53), Japan(1.441), Germany(1.268), Ireland(1.033), Israel(1.018) 이(가) 있음. |
○ | 한국의 분야평균 대비 평균 패밀리 크기는 1.541을(를) 기록하였으며, 이는 질적 수준이 세계 평균 이상임을 의미함. |